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🏗️ PAVE ETF 분석: 미국 대선 이후 인프라 투자 수혜를 노리는 전략형 ETF

by ETFMAP 2025. 7. 27.
반응형

양당 공약 공통분모, ‘미국 인프라 강화’에 투자하는 대표 테마 ETF

PAVE ETF는 미국 내 도로, 교량, 철도, 통신, 건설 장비 등 인프라 확충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.
대선 이후 여당·야당 모두 인프라 투자 공약을 내세우는 만큼, 대선 수혜 ETF 중 ‘정치 중립형’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

📌 목차

✅ PAVE ETF 개요
🧠 투자 전략 및 구성 방식
💼 주요 보유 종목
📈 수익률 및 성과 지표
🔍 장단점 요약
✅ 결론
🏷️ 추천 태그


1. ✅ PAVE ETF 개요

항목내용
ETF 이름 Global X U.S. Infrastructure Development ETF
티커 PAVE
운용사 Global X
상장일 2017년 3월 6일
운용보수 0.47%
추종 지수 Indxx U.S.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dex
주요 테마 미국 내 인프라 (도로, 철강, 건자재, 기계, 전력설비)
 

📌 미국 내 생산·개발 중심의 인프라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.


2. 🧠 투자 전략 및 구성 방식

  • 미국 인프라 투자 확장을 주요 수혜 테마로 삼는 기업에 시가총액 기반 투자
  • 건설, 철강, 전력설비, 운송, 통신 기반설비 기업 포함
  • 100개 이상의 미국 내 인프라 개발 관련 기업 보유
  • IRA 법안, 양당 인프라 정책 확대 흐름과 맞물려 수혜 가능

📌 트럼프/바이든 누구든 ‘인프라 투자 확대’는 피할 수 없는 공약.


3. 💼 주요 보유 종목 (2025년 기준)

종목명비중 (%)주요 사업
United Rentals (URI) 약 4.6% 중장비 렌탈
Nucor (NUE) 약 4.3% 철강 제조
Eaton Corp (ETN) 약 4.1% 전기 시스템
Vulcan Materials (VMC) 약 3.9% 건설 자재
Quanta Services (PWR) 약 3.8% 인프라 엔지니어링
 

🔍 산업재, 자재, 중장비 중심 구성으로 실물 기반 내수주 중심입니다.


4. 📈 수익률 및 성과 지표

기간수익률 (NAV 기준)
YTD (2025) 약 +9.8%
1년 수익률 +17.5%
3년 연평균 +12.6%
5년 연평균 +11.8%
 

📌 인프라 수요 지속과 정책 자금 유입에 따라 시장 대비 안정적 성과 유지 중입니다.


5. 🔍 장단점 요약

장점단점
✅ 정권 교체와 무관한 정책 수혜 가능성 ❌ 기술주 중심 ETF 대비 성장성은 낮음
✅ 실물 인프라 수요 기반 안정적 구조 ❌ 경기침체 시 대형 프로젝트 지연 리스크
✅ 물가 상승기 자재 가격 반영 가능 ❌ 금리 상승기 자본투자 부담 증가
✅ IRA·인프라 법안 등 구조적 지원 ❌ 변동성은 낮지만 테마는 제한적
 

6. ✅ 결론

PAVE는 미국 인프라 개발을 핵심 테마로 삼은 정치 중립형 ETF입니다.
FMKT나 ICLN처럼 특정 정당 색채 없이 미국 내 실물투자 확대를 중심으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노립니다.

  •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자산을 찾는 투자자
  • 미국 정책 테마에 반응하는 ETF를 포트 일부로 편입하고 싶은 분
  •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정책 수혜 가능한 테마를 원할 때 강력 추천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