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ETF 개요
- 이름: John Hancock Global Senior Loan ETF
- 티커: JHLN
- 운용사: John Hancock (Manulife Investment Management)
- 상장일: 2025년 8월 20일
- 총보수: 0.71%
- 유형: 액티브 운용 ETF, **시니어 플로팅 레이트 대출(Senior Floating-Rate Loans)**에 투자하여 높은 현금수익(Income)을 목표로 함
2. 전략 및 구조
- 자산의 최소 80% 이상을 글로벌 시니어 론(선순위 담보대출)에 투자 → 담보 기반으로 채권보다 상환 우선순위가 높음
- 투자 대상:
- 1·2순위 담보 대출, 딜레이드 드로우 터름론, 리볼빙 크레딧, 클럽딜 등
- CLO(대출채권담보부증권), 하이일드 채권, 파생상품(스왑, CDS, 통화선물) 활용
- 글로벌 분산 투자: 최소 40% 이상을 미국 외 지역(특히 유럽) 대출에 투자 가능
- 레버리지 미사용, 헤지 및 효율성 목적으로만 파생상품 사용
3. 주요 편입 종목
- 구체적 상위 편입 종목은 아직 공개되지 않음 (출시 초기 단계).
4. 수익률 및 데이터 (2025년 8월 기준)
- 주가: 약 $25.03 (2025년 8월 22일 기준)
- 배당수익률/분배금: 아직 공개되지 않음
- 순자산 (AUM): 약 8천만 달러, 발행 주식수 약 320만 주
- 스프레드: 데이터 미공개 (초기 ETF 특성)
5. 장단점
✅ 장점
- 플로팅 레이트 구조로 금리 상승기에 유리
- 담보 기반 선순위 대출 투자 → 채권 대비 상대적 안정성
- 글로벌 분산 (최소 40% 해외 투자) → 신흥국/유럽 신용시장 접근 가능
❌ 단점
- 신규 출시 ETF → 성과 및 운용 검증 부족
- 높은 총보수(0.71%) → 채권/대출 ETF 평균 대비 비쌈
- 투명성 제한 → 보유 종목 및 세부 전략 공개 부족
6. 결론
JHLN은 **시니어 론(선순위 담보 대출)**을 기반으로 한 플로팅 레이트 액티브 인컴 ETF로, 금리 상승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또한 글로벌 분산 투자와 CLO, 파생상품 활용으로 적극적인 위험 관리가 가능한 점이 특징입니다.
하지만 **상장 초기(2025년 8월)**로 운용 자산 규모가 아직 작고(약 8천만 달러), 성과 검증이 부족하기 때문에, 현재로서는 **코어 포트폴리오보다는 위성 전략(Income Satellite)**으로 적합합니다.
해시태그
#JHLN #시니어론ETF #플로팅레이트 #액티브ETF #인컴전략 #채권ETF #글로벌크레딧 #JohnHancock #ETF분석 #투자아이디어
반응형